문서의 목적 이것은 TI의 지그비 칩이 cc2530 상에서 UART 2개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노트이다. 부족한 글이지만 해당 칩을 개발하는 개발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적는다. 테스트한 환경 소프트웨어는 TIMAC을 이용했고 하드웨어는 CC Debugger와 CC2530DK_EM을 썼다. 핀 연결 cc2530에는 총 21개의 디지털 I/O 핀이 있는데 이 핀들은 GPIO로 쓰던지 아니면 ADC, 타이머, UART에 연결된 주변 I/O 시그널로 사용될 수 있다. cc2530의 유저가이드 문서를 보면 주변 장치들은 그 장치의 I/O 핀들에 대해 2개의 alternative location들을 갖는다고 써있다. (해석이 딸린다.. 이해바람). I/O 매핑에 관한 설정이 충돌하는 경우 ..
8051 기반 Memory Space 8051 기반의 SOC cc2530은 별개이지만 부분적으로 겹치는 4개의 메모리 스페이스를 갖는다. DATA, CODE, SFR, XDATA가 바로 그 녀석들이다. 쉽게 참조 될만한 한글 포스팅이 없어서 두서없지만 정리 해놓는다. 뭘 알아야 이해하지.. cc2530 메모리 맵을 보면 이런 그림이 나온다. 여기서 쪼~기 맨위에 보면 Selectable 32KB FLASH BANK라고 적혀있다. 선택한 플래시 뱅크는 0x8000 영역에 매핑된다는 것이지.. 흠.. 이 플래시 메모리는 2048바이트 플래시 페이지들로 나누어진다. XBANK 영역 크기가 0x8000이니깐 32K이군. 그러므로 뱅크당 페이지수는 16개이다. 뱅크가 뭐냐고? 흠.. 8051은 좀 더 큰 플래시 ..
직비 칩에서 시리얼 통신 코드 구현에 관하여 자꾸만 잊어버리는 건망증에 대비하여 이 글을 남긴다. 내공이 부족하여 오류가 있음을 충분히 감안하고 보아야 할 것이다. (뭐냐 이 대책 없는 무모함은 ㅡ..ㅡ) 어쨌든 이 포스팅에서는 cc2530의 UART 설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포스팅을 읽기 전에 CC2530에서 UART가 어떻게 동작하는가에 대한 기본 이해를 돕는 Design Note DN112를 먼저 읽어볼 것을 추천한다. 기본적인 준비는 되었겠지? cc2530 개발환경과 TIMAC이 잘 준비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안 되어있으면 그것부터 해놓자. 이 부분도 좀 삽질을 해야하지만 그것까지 적으려니 좀 귀찮다. 언제 시간 날때 정리하도록 하자. 자~ 그럼 UART를 사용하기 위해 다음의 과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이나비
- 아이나비 탭 xd9
- 티스토리챌린지
- Sony
- SM5
- 소니
- c언어
- 아이나비 탭 XD11 Pro
- 아이나비 패드
- 캠코더
- CSS
- 팅크웨어
- qxd1000a
- 아이나비 태블릿
- 서평
- 블랙박스
- 오블완
- 소니 AXP35
- 티스토리
- 독서
- 박근혜
- 블로그
- Ai
- X1 DASH
- 아이나비 Tab XD9
- 소니 핸디캠
- 한빛미디어
- 소니 캠코더
- AXP35
- 독후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